3.1 폼 데이터란?
- 폼 데이터란?
- html 요소인 <form> 태그에 실려 전송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 DTO(Data Transfer Objetct)란?
- 서버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을 때 객체를 의미
- 전송되는 과정
- 폼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의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는다. → 이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db에 저장됨
3.2 폼데이터 전송하기
- action이란?
- URL 연결 주소를 적어
action=”/articles/create”
로 설정하면 이 페이지로 폼 데이터를 보낸다는 의미
- URL 연결 주소를 적어
- method란?
- 속성 값으로
get
과post
, 2가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속성 값으로
@PostMapping이란?
- 뷰페이지에서 폼 데이터를 post 방식으로 전송했으므로 컨트롤러에서 받을 떄도 postMapping() 방식으로 받는다.
3.3 DTO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 데이터베이스란? - SQL 언어를 사용
- 데이터를 관리하는 창고,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에 저장해 관리
- JPA란?
- 자바 언어로 DB에 명령을 내리는 도구로, 데이터를 객체 지향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 JPA 핵심 도구
- 엔티티(entitiy)
- 자바 객체를 db가 이해할 수 있게 만든 것, 이를 기반으로 테이블이 만들어짐
- 리파지터리(repository)
- 엔터티가 db 속 테이블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 엔티티(entitiy)
- DTO를 DB에 저장하는 과정
- DTO를 엔티티로 변환한 후 리파지터리를 이용해 엔티티를 DB에 저장
-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 외부에서 만들어진 객체를 필요한 곳으로 가져오는 기법
@Autowired
어노테이션으로 의존성 주입 할 수 있음
- CrudRepository란?
- JPA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이를 상속해 엔티티를 관리(C,R,U,D)할 수 있음
- 2개의 제네릭 요소를 받는데, 하나는 관리할 대상 엔티티의 클래스 타입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 엔티티의 대푯값 타입이다.
3.4 DB 데이터 조회하기
'백엔드 > [코딩자율학습단]스프링부트 3 자바 백엔드 개발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게시판 내 페이지 이동하기 (1) | 2023.12.29 |
---|---|
5장 게시글 읽기 : Read (0) | 2023.12.29 |
4장 롬복과 리팩터링 (0) | 2023.12.29 |
2장 mvc 패턴 이해하기 (0) | 2023.12.29 |
1장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0) | 2023.12.29 |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