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FS란?
- 파일 수준에서 원격 데이터 공유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하고 서버의 파일에 액세스 할 수 있다.
2. iSCSI(아이스카시)란?
- 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스토리지 네트워킹 표준이며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의 연결에 사용된다.
- 원격 데이터 공유를 허용하지만 블록 수준에서의 공유만 가능하다.
- 로컬 디스크 드라이브와 유사하게 액세스 되는 블록 저장 장치와 여러 클라이언트 머신 간에 데이터를 교환 할 수 있다.
iSCSI SERVER : iSCSI를 이용해 블록 디바이스를 공유할 서버
iSCSI initiator: iSCSI 클라이언트 서버로 공유 받을 서버
Ethernet
3. NFS vs iSCSI
4. NFS 와 iSCSI 언제 사용?
iSCSI : 규모가 작은 기업 환경에서는 서버용 디스크에 IP를 이용해 SCSI 저장소를 공유
-> 하지만 SAN을 통해 서버용 스토리지를 공유하는 환경보다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대규모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NFS : 리소스를 네트워크의 중앙 집중식 서버에 통합할 수 있다는 장점
-> 하지만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 때문에 속도 저하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음
* 출처
Linux) iSCSI란 무엇일까?
iSCSI란? IP 기반으로 블록 디바이스를 공유할 때 쓰입니다. 기존에 IDC에서는 SAN으로 Fibre Channel Cable(광 케이블)을 연결하고 조닝 작업을 통해 LUN을 제공하는 작업을 자주했습니다. 이 조닝 작업이
lilo.tistory.com
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nfs-and-iscsi/
NFS와 iSCSI 비교 -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 간의 차이점 - AW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과 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iSCSI)는 모두, 네트워크 또는 가상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은 원격 기업 통신에
aws.amazon.com
'CS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VS UDP (0) | 2024.05.10 |
---|---|
IT 인프라 구조 -1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