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스템 기반이란?
-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24/365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 요소
2.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원격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하는 기술
- 사용한 만큼의 비용 지불
* 온프레미스
-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식
- 자체적인 데이터센터 또는 서버실을 구축하고 운영
* 퍼블릭 클라우드
- 인터넷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 초기 투자가 필요하지 않음
* 프라이빗 클라우드
- 특정 대상을 지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주로 단일 기업 또는 계열사 등 일부 기업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
3.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1)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 os, 네트워크, 저장소 등을 제공
- 필요로 하는 자원의 규모 및 신뢰도 등에 의하여 비용 결정
ex) aws. azure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환경을 제공
- 인프라에 대한 관리 부담을 줄이며 개발을 제공
ex) goole drive
3) SaaS (Software as Service)
- 클라우드 벤더가 제공하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직접 사용
- 인프라 소프트웨어 구축 시간이 없거나 매우 짧아짐
4.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 AWS
- Microsoft Azure
- GCP(Google Cloud Platform)
5. AWS
* 컴퓨팅 서비스
EC2
- Elastic Compute Cloud
- 다양한 사양의 가상화 서버를 선택하여 사용량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Amazone Auto Scaling
- 특정 조건에 따라 서버를 추가/삭제
Amazone LIghsSail
- 가상 사설 서버
- 간단한 웹 서버 운영 시 이용
Amazone Workspace
- 데스크톱 가상화 서비스
- 사내 pc를 가상화로 구성하여 클라우드를 통한 업무환경 구축
* 네트워크 서비스 -> ip를 고정할 수 없음, 임의로 제공
Amazone Route 53
- 가용성 및 확장성이 우수한 dns 서비스
-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한 쉬운 관리 기능
Amazon vpc
- virtual private cloud
- 인스턴스와 통신할 수 있게 도와줌
- 가상 시설 네트워크 인프라를 클라우드 내에 생성 및 구성
- 네트워크를 이용한 접근 제어
- DHCP VPN 연결, 인터넷 게이트 웨이 사용 가능
Amazon Direct Connect
- 기존 온프레미스 인프라와 aws를 연결하여 낮은 지연으로 데이터 및 정보 공유
Amazon ELB
- Elatic Load Balancer
- L4 Load Balancer 역할 수행
* 스토리지 서비스
Amazone S3
- SImple Storage Service -> 주로 동적 데이터
-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한 범용 스토리지
- 데이터 보관 및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제공 가능
Amazon S3 Glacier -> 주로 정적 데이터
-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데이터 보관 용도로 사용
- 가격이 저렴, 무제한 데이터 보관
Amazon EBS
- Elastic Block Storage
- EC2 등 서버에 스토리지로 추가하여 데이터를 보관하는 용도
Amazone Storage Gateway
- 온프레미스의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연결 Gateway
* 데이터메이스 서비스
Amazon RDS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MySQL, MariaDB) 제공
- 서비스를 직접 관리하는 것이 아닌 아마존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DynamoDB
- NoSQL 서비스
- 대량 데이터 저장 및 분석을 위한 서비스
Amazone ELastiCache
- In-Memory 기반 Cache 서비스
-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연계하는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