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1 폼 데이터란? 폼 데이터란? html 요소인 태그에 실려 전송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DTO(Data Transfer Objetct)란? 서버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을 때 객체를 의미 전송되는 과정 폼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의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는다. → 이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db에 저장됨 3.2 폼데이터 전송하기 action이란? URL 연결 주소를 적어 action=”/articles/create”로 설정하면 이 페이지로 폼 데이터를 보낸다는 의미 method란? 속성 값으로 get과 post, 2가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PostMapping이란? 뷰페이지에서 폼 데이터를 post 방식으로 전송했으므로 컨트롤러에서 받을 떄도 postMapping() 방식으로 받는다. 3.3 DT..
1. 뷰 템플릿과 mvc 패턴 뷰 템플릿 : 화면을 담당하는 기술로, 웹페이지를 하나의 틀로 만들고 여기에 변수를 삽입해 서로 다른 페이지로 보여줌 2.1.2 mvc 패턴 컨트롤러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 이를 처리하는 역할 모델 :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 뷰 : 웹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 2.3 mvc의 역할과 실행 흐름 이해하기 FirstController.java 코드에서의 실행 흐름 @Controller //이 파일이 컨트롤러임을 선언 public class FirstController { @GetMapping("/hi") //클라이언트로부터 hi라는 요청을 받아 검수, 이때 요청을 받음과 동시에 niceToMeetYou 메서드 수행 public String niceToMeetY..
1.1 스프링 부트란? 스프링과 스프링 부트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개선한 것! 스프링 부트는 미리 설정된 스타터 프로젝트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최적화해 제공 1.2 스프링 부트 개발환경 설정하기 1.3 웹 서비스의 동작 원리 이해하기 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 요청과 - 응답의 구조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
문제 링크 카펫 🤔 문제 이해 및 알고리즘 유형 알고리즘 : 완전 탐색 문제 이해 : 노란색 타일과 갈색 타일을 모두 깔았을 때 가로와 세로길이를 구하는 문제 💡 문제 해결 방법 첫번째 시도 방법 갈색 타일과 노란색 타일의 총합을 구하고 그 합의 약수를 구한 후, 가운데 값을 return -> 가로와 세로가 중간 값이 아닌 테스트 케이스가 있었음 답지를 참고한 방법 노란 타일의 가로 세로 길이를 구하기 노란 타일의 가로 x 2 + 노란 타일의 세로 x 2 + 4 == 갈색 타일의 수 조건을 만족 할때 answer 값을 return 한다. 이때 가로길이가 세로길이 보다 같거나 길으므로 정렬해줄 것! 💻 코드 첫번째 코드 total = brown+yellow result=[] for i in range(1,..
· 백엔드
Java 1.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String은 불변의 속성을 가지며, StringBuffer와 StringBuilder는 가변의 속성을 가집니다. StringBuffer는 동기화를 지원하며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며, StringBuilder는 동기화를 지원하지 않아 싱글 쓰레드 환경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https://dev-coco.tistory.com/25 2. 오버라이딩(Overriding)과 오버로딩(Overloading)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오버라이딩은 상위 클래스에 있는 메소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 하는 것을 말하고, 오버로딩은 매개변수의 개수나 타입을 다르게 하여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여러개 정의하는 것입니..
문제 링크 모의고사 🤔 문제 이해 및 알고리즘 유형 알고리즘 유형 : 완전 구현 💡 문제 해결 방법 문제 해결 방법 1) 수포자 1,2,3의 답을 적는 패턴을 파악 2) answers의 인덱스 길이 만큼 반복문을 도는데 이때 수포자의 인덱스 길이가 다르므로 % 연산자를 통해 수포자 1,2,3의 패턴을 계속 반복한다. 3) 인덱스를 돌면서 answers의 값과 같은 값이 있다면 result[0],result[1],result[2]에 각각 1씩 더해준다. 4) result 값에서 max값을 추출해내고 max 값을 가진 index 값+1을 리스트에 저장해서 리턴한다. 💻 코드 def solution(answers): number1 = [1,2,3,4,5] #5 number2 = [2,1,2,3,2,4,2,5]..
집 밖은 위험해
대충 또 열심히